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ND JOB 이공계인력중개센터

ebook

전체메뉴

커뮤니티


로보틱스 AI 연구원 (전문연구요원) 취업수기
작성일 : 2025.07.12
1. 기본정보
- 기업명 : (주)테솔로
- 입사년도 : 2025년 상반기
- 신입, 경력 : 신입
- 전공 : 로봇공학과 (학부), 전기전자공학과 (대학원)
- 학점 : 학부 4.4, 4.5, 대학원 4.25, 4.5
- 어학점수 : 해당 없음
- 자격증 : 운전면허 1종 보통, 워드프로세서 2급
- 대외활동, 공모전, 어학연수, 인턴 등 :
* 수석 졸업 (총장상)
* 국제 대학생 창작자동차 경진대회 (자율주행 부문 장려상)
* 대학생작품경진대회 (캡스톤디자인 부문 대상)
*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최우수상)
* 다양한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 프로젝트 수행
* 국내 학술대회 컨퍼런스 다수 게재

- 지원 요건 및 준비사항 :
* 주요 기술 : Linux, Embedded, C, C , MATLAB, Python, OpenCV, TensorFlow, Pytorch
Docker, Solidworks, ROS1, 2, Deep Learning

* 사용 센서 : Logitech BRIO ULTRA HD PRO, SICK LMS151-10100, Velodyne VLP-16,
Ouster OS1-32, GARMIN GPS19x HVS, SBG Systems Ellipse2-A, ASUS Xtion,
Ublox ZED-F9P, Jetson AGX Orin Developer Kit, Jetson TK1, ERP42, mini,
ADLINK MXE-5401, Arduino UNO

* 연구,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작성

2. 회사 소개 및 직무, 담당업무 소개
- 기업정보 : (주)테솔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로봇 그리퍼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으로,
산업용 자동화 분야에서 완전 자동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정 작업에 특화되도록 설계된
기존 그리퍼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높은 자유도로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사람 손과 유사한 다섯 손가락 로봇 그리퍼를 개발해 국내, 외에서
기술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관절 인간형 5지 로봇 그리퍼 : https:, , youtu.be, 7JhqK_k9IGI?si=-oHHKwgyZzCPnYGo

- 직무정보: 로보틱스 AI 연구개발 직무는 기업부설연구소 소속으로 선행연구를 수행합니다.
전 세계 학계와 산업계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다관절 인간형 로봇 그리퍼를 이용하여
기업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Sim2Real 관점에서 로봇의 인식 및 제어 기술을 고도화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며, 핵심 업무는
MuJoCo 및 Isaac Sim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로봇을 모델링하고 모방학습 및 강화학습 기반의
행동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

3. 서류, 필기, 면접 등 입사전형별 준비과정(최소 300자 이상)
전형은 서류, 직무 면접, 임원 면접, 최종 합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류 전형: 필요 서류는 이력서,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핵심은 포트폴리오입니다.
단순히 수행했던 연구나 프로젝트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정의, 설계 아이디어, 기술 구현, 실험 결과의 흐름으로 구성하였고 각 프로젝트가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중심에 두었습니다. 특정 기술을 적용했다는 사실보다
실제 환경에서 어떤 가치를 만들어냈는지를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문제를 수학적으로 어떻게 정의했는지, 이에 따라 어떤 접근법을 선택했는지
적용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고 이를 어떻게 극복했는지까지 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보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몰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직무 면접: 포트폴리오 발표 후 세부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연구, 프로젝트 경험과 연관된 질문에
집중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완성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수행한 경험이 직무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유사성 및 적용 가능성을 설명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모르는 질문에는 솔직하게 답하며, 학습 의지를 덧붙여 신뢰를 주는 것이
유효했습니다. 직무와 완전하게 부합하는 핵심 경험이 있다면 여러 다른 경험들을 설명하는
것보다 해당 경험을 중심으로 풍부하게 구성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임원 면접: 직무 능력은 이미 어느정도 검증된 상태이므로, 인성과 태도 중심 질문이
주를 이뤘습니다. 자기소개와 지원 동기만 사전에 준비하고, 나머지는 즉흥적으로 응답했습니다.
직무와 직접적으로 일치하는 경험 부족에 대한 질문에는 수행한 핵심 연구 경험의 적용 및 확장
가능성과 간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들이 어떻게 직무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했습니다.

4. 본인만의 취업전략 또는 실용적인 Tip(최소 500자 이상)
- 서류 후기 및 작성 tip
연구 직무라면 포트폴리오가 경쟁력입니다. 그림, 영상 등 시각 자료를 적극 활용하고,
단순한 기술 나열보다 문제 해결 관점을 강조하세요. 회사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분석하고
이에 맞게 포트폴리오 전체를 하나의 이야기처럼 구성하여 높은 전달력으로
본인을 어필하시길 바랍니다.

- 면접 후기(질문, 답변 내용, 분위기, 준비방법 등)
자기소개와 지원 동기는 명확한 메시지와 함께 반복 연습이 필요합니다.
기술 개념은 단순 정의가 아니라 본인이 경험한 구체적 사례를 기반으로 설명하는 것이
설득력 있습니다. 최종 합격의 핵심은 본인의 약점을 파악하고 미리 대비해 간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직무와 직접적으로 일치하는 경험이 부족한 것이 최대 약점이었습니다.
직무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관련성 있는 경험을 중심으로 연결고리를 만들어 논리적으로
전달하시기 바랍니다.

5. 해당 직무 취업을 희망하는 취준생을 위한 조언(최소 300자 이상)
로보틱스 AI 직무는 다양한 기술의 융합이 요구됩니다. 모든 기술을 깊이 알 필요는 없지만,
통합적인 시스템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해 본 경험이 중요합니다. 특히 직무와 직접적인
연관 경험이 없다면 그에 준하는 경험을 스스로 연결해내는 스토리텔링 능력이 필요합니다.
부족한 점은 겸손하게 인정하고 이를 보완할 전략과 학습 태도를 강조하면,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술보다도 문제 해결력과 태도를 보려는 회사의 관점을 이해하고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여러모로 혼란스러운 시대입니다.
취업시장은 여전히 얼어붙어 있고,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앞으로의 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제가 석사 과정에서 연구했던 기술들조차 이제는 과거의 기술로 분류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학부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이제 전문가란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학습하고 적응하는 사람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성장 없이 현실에 안주하면 도태되는 세상입니다.
스스로를 끊임없이 성장시키며 커리어를 개발해 나갈 수 있는 직장을 잘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좋은 회사들을 계속해서 지원하다 보면 결국 합격의 기회는 반드시 옵니다.
불안해하지 마시고, 성실하고 꾸준하게 준비해 나가시길 응원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